Skip to main content

남윤정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남윤정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 3개월 만에 0.4%p 낮춰 "세계적으로 성장률 낮은데 우리만 성장할 순 없어" 신산업 육성하지 않고 외국인 노동자 유입도 미진 한국은행이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존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Read More
남윤정

서울 외곽 지역, 가격 하락세 뚜렷 강남권 아파트는 꾸준히 상승세 '똘똘한 한 채'에 초양극화 이어져 내수 침체 장기화와 '똘똘한 한 채' 선호 속에 서울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강남권과 한강 벨트, 강북의 대형 고급 주택 등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며 가격이 우상향하는 데 반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은 하락세가 이어지는 등 지역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Read More
남윤정

전기차 캐즘에 전기차 스타트업 줄파산 니콜라 시가총액, 한때 포드 앞서기도 부채 100억 달러 육박하며 주식 97% 하락 니콜라의 수소 전기 트럭 제조 공정/사진=니콜라 유튜브 한때 '제2의 테슬라'로 불리며 기대를 모았던 수소·전기 트럭 제조업체 니콜라(Nikola)가 경영난 끝에 결국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Read More
남윤정

美 소비자들, 제품 신뢰도보다 저렴한 가격 선택 테무, 북미서 아마존 이용자 상당수 흡수하며 급성장 트럼프 추가 관세 부과에 가격 인상 불가피할 듯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테무가 미국 시장에서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Read More
남윤정

반도체법, 여야 이견에 산자위 소위 문턱서 좌절 민주당, 노동계 반발 의식해 기존 당론으로 회귀 과기장관 "선진국 중 한국만 국가 R&D 근로 제한" 고소득·고학력 근로자에 대해 주 52시간 근로제 적용을 제외하는, 이른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White-Collar Exemption)'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Read More
남윤정

대만, 트럼프 당선 직후부터 무기 구매 검토 HIMARS 등 첨단 무기 포함 100억 달러 규모 FT "트럼프 친화적 관계 조성을 위한 보증금" 대만이 구매할 것으로 추정되는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사진=록히드마틴 중국이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계속하는 가운데, 대만 정부가 최대 100억 달러(약 14조4,000억원) 규모의 미국

Read More
남윤정

러·우크라 전쟁, 중동 갈등 등 영향으로 각국 방위비 확대 러시아發 위협에 유럽 군비 16% 급증, 독일은 최대 증가 폭 中·日 방위비 증가세에도 아시아 비중 감소, 韓은 10위권 2024년 국방 예산 상위 15개국/출처=국제전략연구소(IISS) 지난해 전 세계가 지출한 방위비가 2조4,600억 달러(약 3,600조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

Read More
남윤정

강남·송파 291곳,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 14곳 규제 유지 시장 왜곡 해소에도 가격 상승 우려 여전해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지만 남기고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를 대거 해제했다. 이번 조치로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의 아파트 291곳이 4년 8개월 만에 규제 지역에서 풀려났다.

Read More
남윤정

中 국영 자동차 기업들, BYD 등 민간 제조사에 밀리며 고전 창안·둥펑車, 中 시장의 전기차 전환 대응 위해 통합 추진 통합 성사되면 연간 판매량 516만 대로 자국 시장 1위 올라 중국 국영 자동차 회사 창안(長安)자동차와 둥펑(東風)자동차가 합병을 추진한다. 전기차 전환, 자율주행 기술 도입 등 모빌리티 산업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자국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Read More
남윤정

트럼프 대통령, 철강 수입품에 5% 관세 부과 공식화 한국 등에 적용해 온 면세 쿼터제 폐지 가능성 높아 국내 철강업계, 가격 인상으로 대미 수출 감소 우려 10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포고문에 서명하고 있다/사진=백악관 유튜브 오는 3월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

Read More
남윤정

러셀 바우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을 CFPB 수장에 임명 의회가 설립한 기구지만 기관장 재량권으로 폐지 수순 머스크, "유사한 규제 기관 너무 많아" 예산 낭비 지적 연방정부 기관의 퇴출·축소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융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된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폐지 절차에 들어갔다.

Read More
남윤정

백악관으로 돌아온 트럼프, 연일 강경 행보 잇따른 팽창주의 발언, 국제법 위반 비판도 멕시코·캐나다 등 우방국에 '고관세' 위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지 20여 일이 지난 가운데, 그의 거침없는 행보가 국제사회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Read More
남윤정

혼다·닛산, 통합 비율 등 이견 좁히지 못해 혼다, 닛산 자구책 미흡해 자회사 인수 제안 닛산의 거센 반발에 경영 통합 전면 '재검토' 일본 2·3위 완성차 업체 혼다와 닛산자동차 간 경영 통합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당초 두 회사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영 통합을 추진했으나, 닛산의 구조조정 문제와 지주사의 지배권 등 경영권 조율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이 중단됐다.

Read More
남윤정

국내 대기업의 캐나다·멕시코 법인 총 201곳 미·중 무역 갈등 속에 대미 수출기지로 활용 美 현지 생산·생산지 다변화 등 대응 본격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생산기지 다변화 등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기업의 생산 거점이 포진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위협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미국 이전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Read More
남윤정

트럼프, 국제 원조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독립부처인 USAID, 국무부 산하로 이관 추진 건물 출입통제, 웹사이트 폐쇄 등 '폐지' 수순 지난 2일 머스크가 올린 USAID 관련 게시글/출처=X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해외 원조를 중단한 가운데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직원들이 대거 해고 및 정직 처분을 받았다.

Read More
남윤정

애플 '비전 프로', 고가 논란 속에 판매 부진 내부에서 VR·AR 시장성에 대한 우려 높아 메타·삼성·구글은 AR 제품 개발 지속 예정 애플이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전격 중단했다. 애플은 2020년부터 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추진해 왔지만 맥(Mac)과의 연동 과정에서 기술적 한계와 사업성의 문제에 부딪힌 상태다.

Read More
남윤정

中 국내파가 개발한 AI 모델에 시장 지각변동 훨씬 적은 돈으로 챗GPT 필적하는 성능 구현 오픈AI·메타 등, '딥시크發 충격'에 대응 나서 딥시크 R1과 오픈AI o1의 성능 비교/출처=딥시크 X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 AI 시장에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Read More
남윤정

가상화폐 실무그릅, 6개월 내 트럼프에 보고서 제출 트럼프 대통령, 과거 입장 바꿔 '親가상화폐'로 전환 발표 직후 시장 반응 미지근, '실망스럽다'는 여론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 행정부의 가상화폐 정책을 검토할 실무그룹(워킹그룹) 신설을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친(親) 가상화폐 기조를 본격화했다.

Read More
남윤정

북한군 1만1,000명 투입해 1,000명 사망 부상·실종자 더하면 4,000명 육박 추산 BBC "대규모 병력 손실로 큰 비용 발생" 영국 공영 BBC 방송에 따르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중 약 1,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상자와 실종자까지 합친 병력 손실 규모는 전체 파병 병력의 40%에 달한다.

Read More
남윤정

금융당국 가계대출 규제에 주담대 금리 인상한 은행권 기준금리 인하 속 수신금리 인하로 예대금리차는 확대 취약차주 중심 인터넷은행 예대 차는 시중은행 웃돌아 은행권의 예대금리차가 급증하면서 금융소비자의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한때 '금리 맛집'으로 불렸던 인터넷전문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시중은행을 앞지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Read More